드론이 날아가 정찰·폭격…미래전 드론부대 10월 창설
- 작성일2018/08/24 09:10
- 조회 453
2018-08-23
중앙일보
정찰드론이 날아가 숨겨진 적의 포병 진지를 확인해 좌표를 전달한다. 곧바로 후방 기지에 있던 폭격드론이 출동해 해당 진지를 초토화하고 복귀한다.
이같은 미래전 ‘드론 부대’가 오는 10월 창설된다. 육군은 당초 내년 지상작전사령부 출범 때 만들기로 했던 드론봇(드론+로봇)전투단의 출범을 오는 10월로 앞당기기로 했다. 2021~2024년 드론 부대의 전력화를 위해서다. 육군 소식통은 22일 “오는 10월 1일 드론봇 전투단이 3군사령부 예하에서 출범한다”며 “내년 초 1ㆍ3군사령부가 통합된 지상작전사령부가 신설되면 산하 지상정보여단으로 다시 편성될 방침”이라고 말했다.
드론봇전투단은 대령을 지휘관으로 하는 50여 명 규모로 시작해 내년엔 세 자릿수 이상으로 부대원을 증원할 계획이다. 현재 드론봇 전투단은 10여 대의 드론과 4대의 로봇 장비를 확보해 창설준비요원이 숙달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에는 군 내 기존 드론과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장비를 부대에 편제하는 등 약 36억원의 예산으로 60~80대 장비를 확보하는 게 목표다.
군 당국은 이어 원거리 정찰드론과 공격형 자폭드론을 개발해 드론봇 전투단에 편제할 계획이다. ADD내 민군협력진흥원이 민간업체를 선정해 개발을 관리하기로 했다. 100㎞ 이내를 활동반경으로 하는 정찰드론은 재해와 전투 현장 모두에서 활용된다. 공격형 자폭드론은 군사용으로는 폭탄을 싣지만 민간에선 의료품ㆍ물자 등을 옮기는 데 쓰일 수 있다. 군 관계자는 “지금 민간 기술력이라면 개발이 어렵지 않다”고 내다봤다. 군은 지상 드론에 로봇 팔을 결합해 지뢰 탐지와 제거에 나서는 드론 로봇 개발도 검토하고 있다.
내년에는 드론 전투실험 예산 69억원 등 총 120억원을 들여 200대 장비로 본격적인 ‘드론 전투원’ 검증도 한다. 통신중계ㆍ정찰ㆍ화생방감시ㆍ수송 드론 외에 지뢰탐지ㆍ투하형 공격 드론 등 총 13종을 도입해 전투 성능을 측정한다. 군 관계자는 “보병대대와 기계화보병대대 내 도입이 계획된 만큼 병사를 대신해 드론이 싸우는 실질적인 드론 전투 시대가 열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 드론은 우선 군사분계선 선상에서 150㎞ 이내 밀집된 북한의 탄도미사일과 방사포기지를 겨냥할 것으로 보인다.
군 안팎에선 이같은 드론 전력화가 2021년쯤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육군은 당초 합참과 협의한 7대 드론 전력화 과제를 2025년으로 예정했다. 하지만 이 시기를 4~5년 앞당기려 하고 있다. 7대 과제는 원거리 정찰 드론, 소형 정찰 드론, 통신중계 드론을 비롯해 공격형 자폭 드론 4종(작전 반경 기준)으로 구성돼 있다. 소형 정찰 드론은 현재 기술 수준으로도 가능한 데다 나머지 드론도 기술 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이른 시일 내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군이 드론 부대 전력화를 우선 과제로 선정한 이유는 병력 감축과 안보 상황의 변화 때문이다. 병력 감축 계획에 따라 2022년까지 61만 8000명인 병력이 2022년까지 50만 명 수준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병사들을 대신할 정찰ㆍ감시ㆍ방어 전력으로 드론봇이 필요해졌다. 군에 따르면 드론봇을 전체 전력의 30% 수준까지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비무장지대 내 감시초소(GP) 철수 등 남북 간 안보 환경이 변하면서 오히려 드론 전력화 필요성도 커졌다. 군 관계자는 “드론의 역할은 정찰ㆍ타격 등 전투에 국한되지 않고 지뢰탐지 등 범용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며 “평화 분위기의 안보 상황에서도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이근평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844710